카테고리 없음
장애인용 키오스크 의무화, 모두를 위한 기술인가?:“기계는 진화했지만, 모두를 위한 진화일까요?”
푸른심성
2025. 4. 25. 21:11
키오스크, 이제 생활 속에서 빼놓을 수 없죠
요즘 식당, 병원, 카페, 무인 편의점, 공공기관…
어디를 가든 **키오스크(무인 단말기)**가 당연한 듯 우리 앞에 있습니다.
메뉴 주문, 번호표 뽑기, 발급 신청까지
기계를 한 번도 안 쓰고 하루를 보내는 게 더 어려울 정도예요.
그런데 그 당연한 기술이,
누군가에겐 하루를 힘들게 하는 장애물이 될 수도 있다면요?
📌 그래서 정부는 움직였습니다
2024년 2월, 보건복지부는
장애인차별금지법 시행령 개정을 예고하며
“장애인용 키오스크 설치를 의무화하겠다”고 발표했습니다.
👉 주요 내용 요약:
- 공공기관, 대형 프랜차이즈 등 일정 규모 이상 사업장
- 키오스크에 음성 안내, 점자, 고대비 화면, 휠체어 높이 조절 등 적용 의무화
- 불이행 시 과태료 부과 가능
이제 키오스크는
단순한 ‘무인 기술’이 아니라
모두를 위한 배려 기술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죠.
🙋♂️ 장애인 입장에선 어떤 불편이 있었을까?
많은 분들이 생각보다 모르시는 부분입니다.
📍 시각장애인
- 화면을 볼 수 없어 아예 조작 불가능
- 음성 안내 없음
- 버튼 위치, 터치 화면 구성 불명확
📍 지체장애인 / 휠체어 이용자
- 화면이 너무 높거나 멀다
- 손이 닿지 않아 직원 도움 필요
📍 고령자·인지장애인
- 너무 복잡한 화면 구성
- 짧은 제한 시간 → 당황하거나 포기
💡 실제 설문조사에서 **장애인의 60% 이상이 키오스크 사용에 ‘불편함’**을 느낀다고 답했습니다.
🔍 찬성 vs 반대, 어떤 시각들이 있을까?
✅ 찬성 의견 – 모두를 위한 기본권 보장
- 장애인의 일상 접근권은 헌법상 권리
- 기술 발전의 혜택이 소수에게만 돌아가선 안 됨
- 인건비 아끼려고 무인화하면서, 그 대가를 사회적 약자에게 전가하는 건 부당
- 사용자 다양성을 고려한 ‘유니버설 디자인’ 도입 필요
“장애인을 위한 키오스크가 결국은 모두에게 편한 키오스크가 됩니다.”
❌ 반대 또는 우려 – 현실적 어려움
- 소상공인, 자영업자 입장: 고비용 부담
- 키오스크 1대당 200~300만원 이상 + 음성 지원 시스템은 추가 비용
- 규제가 늘수록 소상공인 영업 환경 악화 우려
“의도는 좋지만, 중소사업자 현실도 함께 고려해야 하지 않을까요?”
📈 실제 변화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을까?
- 서울시는 2023년부터 공공기관에 장애인형 키오스크 우선 도입
- 롯데리아, CU 등 프랜차이즈 일부 매장에 시범 도입 중
- 국립중앙도서관, 주민센터 등 공공기관에서도 적용 확대 중
그러나 아직은 시작 단계이고,
법제화와 예산 확보, 가이드라인 정비가 더 필요하다는 지적도 많습니다.
기술은 누구를 위한 것일까요?
키오스크는 이제 거스를 수 없는 흐름입니다.
하지만 **“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어야 진짜 기술 발전”**이라고 믿습니다.
장애인, 고령자, 어린이, 외국인까지
누구든 낯설지 않게 이용할 수 있어야
그것이 진짜 **‘포용하는 기술’**이 되지 않을까요?